본문 바로가기

외국계단점2

외국계 환상을 깨부서드립니다 고백을 하나 하자면, 여전히 취준생 단톡방에 들어가 있어요. 뭔가 그럴싸한 이유는 없지만, 가끔 취준생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제가 도울 방법은 없을지, 그리고 구직 당시의 초심이 어땠는지를 리마인드하는 그런 이유가 있어요. 사실 새로운 메시지가 300개 넘게 쌓여있어도 단톡방에 들어가지 않지만, 가끔 들어가는 게 있어요. 바로 취준생 혹은 현직자들의 외국계 기업에 대한 환상에 대한 대화 주제였어요. 생각해보면 참 별것 없는데 무언가 국내 기업보다 모든 게 좋아 보이고,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라는 생각들을 많이 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저는 완전히 이해합니다 - 왜냐하면 저 또한 그렇게 생각했거든요. 외국계 또한 상당히 이성적이지 않을 때가 많아요. 어떤 사례가 있을까~ 생각해보니 멀리 돌아볼 필.. 2022. 4. 7.
외국계 기업 단점 (말하는 감자 피셜) 지난 포스팅 이후로 업무 관련으로 꽤나 힘든 시간을 보냈어요. 아무리 외국계 회사는 모든 것이 셀프서비스로 이루어진다고 하지만, 제가 할 업무도 셀프로 가져오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죠! 다른 직장인들에게 "요즘 일이 너무 없어 고민이야"라고 한다면 모두가 저를 미쳤다고 생각하겠지만, 저는 정말 미치겠다는 말이 입에 저절로 나올 만큼 힘든 시기였답니다. 흑흑. 사실 이 어려움의 시작은 매니저의 실적 요구에서부터 시작되었어요. 원래 외국계 기업이 실적 압박이 심한 건 입사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포지션 자체가 꽤 긴 트레이닝을 요구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실적을 만들기가 쉽지 않았어요. 하지만 진짜 문제는 따로 있었죠 - 바로 대한민국 내에서 실적을 만들 수 있는 여건이 갖춰져 있지 않다는 현실이었죠. 외국계.. 2022. 2. 3.